맨위로가기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는 고대 이집트의 도시로, 이집트어로는 "넨 네수트"라고 불렸으며 "왕의 아이"를 의미한다. 그리스 시대에는 "헤라클레스의 도시"로 불렸고, 로마 시대에는 라틴어화된 형태로 사용되었다. 제1중간기에는 하 이집트의 주요 도시로 권력을 행사했으며, 제9왕조와 제10왕조 시대를 헤라클레오폴리스 시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중왕국 시대에는 헤리샤프 신앙의 종교 중심지가 되었고, 제3중간기에도 중요성을 유지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로마 시대에도 종교 및 문화 중심지로서 역할을 했으며, 플린더스 페트리, 에두아르 나빌 등의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2. 명칭

고대 이집트에서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는 '''''nn nswtegy'''''라고 불렸으며, 이는 "왕의 아이"를 의미한다.(''hnn nswt'' 또는 ''hwt nn nswt''로 나타나며, '''Henen-Nesut''' 또는 '''Hut-Nen-Nesut'''로도 표기된다). 이는 이후 Ϩⲛⲏⲥ or ϩⲛⲉⲥcop로 발전했고, 초기 اهناسarz ''Ahnās''로 차용되었다. 이 지역은 현재 ''Ihnasiyyah Umm al-Kimam'' "이흐나시야, 조각의 어머니"와 ''Ihnasiyyah al-Madinah'' "이흐나시야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6]

그리스어 이름은 "헤라클레스의 도시"를 의미하며, "마그나"라는 수식어는 이름을 가진 다른 도시와 구별하기 위해 추가되었다. 이 그리스어 형태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후 권력을 잡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 더 흔해졌다. 로마 제국은 그리스어 이름을 라틴어화된 형태로 사용했다.[7]

일부 이집트학자 및 성경 학자들은 חָנֵסhe ''Ḥānês''를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와 연결시킨다.[3][8]

3. 역사

팔레르모 석에 따르면 덴 왕이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의 고대 이름인 ''Nenj-neswt''에 있는 헤리셰프의 신성한 호수를 방문했다는 기록이 있어, 기원전 2970년경 이집트 제1왕조 중반에는 이미 도시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9][10]

제9왕조와 제11왕조 사이로 추정되는, 지방 통치자 네페르카우(Nfr-khaU)와 사트-바헤텝(아마도 그의 아내)(Sa-t, Ba-htp)의 무덤이 있는 장례 예배당 북쪽 벽의 부조 부분. 사트-바헤텝의 카를 위한 장례 음식 제공 의식을 보여준다(기원전 2160년에서 1990년 사이).


고왕국 붕괴 후 이집트는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로 분열되었고, 헤라클레오폴리스는 하 이집트의 주요 도시로서 기원전 2181년에서 2055년 사이 제1중간기 동안 권력의 절정에 달했다.[11][12] 이 시기 헤라클레오폴리스는 하 이집트를 강력하게 통제하여 이집트학자와 고고학자들은 제9왕조와 제10왕조(기원전 2160년~2025년) 사이를 헤라클레오폴리스 시대라고 부르기도 한다.[13] 이 기간 동안 헤라클레오폴리스는 상 이집트의 사실상 수도였던 고대 테베, 이집트와 자주 충돌했다.[14]

제1중간기 후반과 중왕국 초기에는 헤리샤프 신앙의 종교 중심지가 되었고, 헤리샤프 신전이 건설되었다.[15] 기원전 2055년에서 2004년 사이에는 멘투호테프 2세에게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와 그 왕조가 패배하면서 중왕국 시대가 시작되었다.[16]

제3중간기(기원전 1069–664년) 시대에 헤라클레오폴리스는 다시 중요해졌으며, 도시 내 사원과 장례 중심지에 대한 많은 개조 및 신축이 이루어져 종교 및 정치 중심지가 되었다.[17]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기원전 332–30년) 시대에도 헤라클레오폴리스는 이집트의 중요한 종교 및 문화 중심지였다. 그리스 통치자들은 자신들의 신과 이집트 신들 사이에 유사점을 찾으려 시도하면서, 하르셰프를 헤라클레스와 해석하여 관련지었고, 이로 인해 헤라클레오폴리스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18]

헤라클레오폴리스 유적지는 로마 이집트(기원전 30년–390년) 시대에도 사람이 살았으며, 세드멘트 엘-제벨 묘지 근처에서 이 시대 주택이 발견되었다.[19]

3. 1. 초기 왕조 시대

팔레르모 석에 따르면 덴 왕이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의 고대 이름인 ''Nenj-neswt''에 있는 헤리셰프의 신성한 호수를 방문했다는 기록이 있어, 기원전 2970년경 이집트 제1왕조 중반까지는 이미 도시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9][10]

3. 2. 제1중간기 (기원전 2181년 ~ 2055년)



헤라클레오폴리스는 기원전 2181년에서 2055년 사이에 있었던 제1중간기 동안 처음으로 두각을 나타내며 권력의 절정에 달했다.[11] 고왕국의 붕괴 후 이집트는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로 분열되었다. 헤라클레오폴리스는 하 이집트의 주요 도시가 되었고, 이 지역의 상당 부분을 통제할 수 있었다.[12] 이 시기에 헤라클레오폴리스는 하 이집트에 대해 매우 강력한 통제력을 행사하여 이집트학자와 이집트 고고학자들은 때때로 제9왕조와 제10왕조(기원전 2160년~2025년) 사이의 기간을 헤라클레오폴리스 시대라고 부르기도 한다.[13] 이 기간 동안 헤라클레오폴리스는 상 이집트의 사실상 수도였던 고대 테베, 이집트와 자주 충돌했다.[14]

3. 3. 중왕국 (기원전 2055년 ~ 1650년)

제1중간기 후반과 중왕국 초기에 이 도시는 헤리샤프 신앙의 종교 중심지가 되었고, 헤리샤프 신전이 건설되었다.[15] 기원전 2055년에서 2004년 사이에는 멘투호테프 2세에게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와 그 왕조가 패배하면서, 중왕국 시대가 시작되었다.[16]

3. 4. 제3중간기 (기원전 1069년 ~ 664년)

제3중간기(기원전 1069–664년) 시대에 헤라클레오폴리스는 다시 중요성이 커졌다. 도시 내에 존재했던 사원과 장례 중심지에 대한 많은 개조 및 새로운 건축이 이루어졌으며, 다시 중요한 종교 및 정치 중심지가 되었다.[17]

3. 5.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 (기원전 322년 ~ 30년)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기원전 332–30년) 시대에도 헤라클레오폴리스는 이집트의 중요한 종교 및 문화 중심지였다. 이 시기의 그리스 통치자들은 자신들의 신과 그들이 통치하게 된 땅의 신들 사이에서 연관성과 유사점을 찾으려 시도하면서, 하르셰프를 헤라클레스와 해석하여 관련지었고, 이로 인해 헤라클레오폴리스는 현대 학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이름이 되었다.[18]

3. 6. 로마 시대 (기원전 30년 ~ 기원후 390년)

헤라클레오폴리스 유적지는 로마 이집트(기원전 30년–390년) 시대에도 사람이 살았다. 세드멘트 엘-제벨 묘지 근처에서 이 시대의 주택이 발견되었는데,[19] 이는 그 지역에 계속해서 사람이 살았음을 의미한다.

4. 주요 인물

Θεοφάνης|테오파네스el물리학자이다.

5. 고고학적 발굴

헤라클레오폴리스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은 여러 차례 진행되었다.

에두아르 나빌은 헤리셰프 신전을 발굴했지만, 플린더스 페트리 경은 1879년에 더 많은 유물이 남아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페트리는 신전 발굴을 완료하고 주변 지역을 조사하여 로마 시대 주택 유적, 람세스 2세 관련 건물, 19왕조 시대 신전 등을 발견했다. 또한 제1중간기와 중왕국 초기, 후기 로마 시대의 유물들을 발굴했다.[20][21][22][23][24][25]

1980년대 스페인 팀은 제3중간기 신전에서 유물을 발굴했고,[26] 2008년에는 마리아 델 카르멘 페레즈-디에가 이끄는 팀이 제1중간기의 가짜 문, 장례 제물, 네페르자우 부부의 장례 예배당, 제11왕조 후기 케티 무덤 유해 등을 발견했다.[27][28][29]

5. 1. 플린더스 페트리와 에두아르 나빌

테이-므스의 아마포 무덤 옷을 입은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 출토 도기 우샤브티 (런던 이집트 고고학 페트리 박물관)


헤라클레오폴리스에서 광범위한 발굴을 처음으로 수행한 사람은 스위스 이집트학자 에두아르 나빌이었다. 나빌은 헤리셰프 신전 전체라고 믿었던 곳을 발굴한 후, 헤라클레오폴리스가 제공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찾았다고 결론지었다.[20]

반면 그의 친구 플린더스 페트리 경은 1879년에 이미 정리된 지역이 신전의 일부일 뿐이라고 의심했고,[21] 따라서 헤라클레오폴리스(혹은 그가 부른 이름인 에나스야, 로마 점령 시대의 유산)에는 아직 발굴할 것이 많이 남아 있었다고 생각했다.

페트리는 나빌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었던 많은 것을 발견했다. 그는 헤리셰프 신전의 발굴을 완료했으며, 신전 주변 지역에서 다른 유물을 찾으려고 시도했다. 그렇게 하면서 그는 로마 점령 시대의 주택 유적과 같이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특징들을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22] 그는 또한 람세스 2세와 관련된 헤리셰프 신전에 대한 앞서 언급한 부가물뿐만 아니라, 19왕조에 속하는 또 다른 신전을 확인했다.[23] 고고학적 특징 외에도, 페트리가 발굴 중에 발견한 유물은 매우 많으며, 정착지의 전체 연대기를 망라한다. 제1중간기와 중왕국 초기에 발견된 유물과 관련하여, 페트리는 11왕조와 관련된 다수의 도자기 조각을 발굴했다.[24] 페트리는 후기 로마 시대에서 철제 도구, 도자기, 아이콘을 포함하여 그가 발굴한 많은 묘역과 관련된 다수의 물건들을 발견했다.[25]

5. 2. 최근 발굴

1980년대에 스페인 팀이 발굴을 실시하여 제3중간기 신전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는 헌주 제단과 조각된 눈 한 쌍과 같은 유물을 발굴했다.[26]

2008년에는 스페인 마드리드 국립 고고학 박물관의 마리아 델 카르멘 페레즈-디에의 지휘 아래 스페인 팀이 발굴을 진행했다. 이들은 제1중간기에 속하는 여러 개의 가짜 문이 있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무덤과 훼손되지 않은 장례 제물을 발견했다.[27] 다른 발견물로는 고위 관리 네페르자우와 그의 아내 사트-바헤테프의 장례 예배당[28], 그리고 제11왕조 후기에 케티라는 이름의 관리의 무덤 H.1의 유해가 있다.[29]

참조

[1] 웹사이트 Stephanus of Byzantium, Ethnica, H304.7 https://topostext.or[...]
[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2008 Blackwell Publishing 2008
[3] 서적 An Egyptian hieroglyphic dictionary: with an index of English words, king list and geological list with indexes, list of hieroglyphic characters, coptic and semitic alphabets, etc. Vol II https://archive.org/[...] John Murray 1920
[4] 서적 Dictionnaire des Noms Géographiques Contenus dans les Textes Hiéroglyphiques Vol. 4 https://archive.org/[...] 1927
[5] 서적 Dictionnaire géographique de l'ancienne Egypte: contenant par ordre alphabétique la nomenclature comparée des noms propres géographiques qui se rencontrent sur les monuments et dans les papyrus https://digi.ub.uni-[...] J. C. Heinrichs 1879
[6]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2008 Blackwell Publishing 2008
[7] 서적 Ehnasya 1904. Gilbert and Rivington Limited 1905
[8] 서적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1915
[9]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1999
[10] 간행물 Ein Bruchstück altägyptischer Annalen Verlag der Königli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902
[11]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Ancient Egypt, 2008.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1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2008 Blackwell Publishing 2008
[1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2008 Blackwell Publishing 2008
[14]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Ancient Egypt, 2008.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15]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Ancient Egypt, 2008.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16]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Wiley-Blackwell 2011
[17]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Ancient Egypt, 2008.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18]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Ancient Egypt, 2008.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19]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Ancient Egypt, 2008.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20] 서적 Ehnasya 1904. Gilbert and Rivington Limited 1905
[21] 서적 Ehnasya 1904. Gilbert and Rivington Limited 1905
[22] 서적 Ehnasya 1904. Gilbert and Rivington Limited 1905
[23] 서적 Ehnasya 1904. Gilbert and Rivington Limited 1905
[24] 서적 Ehnasya 1904. Gilbert and Rivington Limited 1905
[25] 서적 Ehnasya 1904. Gilbert and Rivington Limited 1905
[26]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Ancient Egypt, 2008.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27] 뉴스 False Doors for the Dead Among New Egypt Tomb Finds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08-02-25
[28] 간행물 Some blocks of the funeral chapel of Neferkhau and Sat-Bahetep in the MAN of Madrid Bulletin of the Spanish Association of Orientalists 2005
[29] 간행물 The ritual journey of Khety (H.1) of Herakleópolis Newsletter of AE (BIAE) 2007-10
[30]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2008 Blackwell Publishing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